본문 바로가기
성격 유형

MBTI 성격 유형 E I 차이 외향과 내향의 의미

by story-for-you 2022. 11. 14.
반응형

 오늘은 MBTI 성격 유형 중 E와 I의 차이에 대해서 잘 설명한 내용이 있어 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내용은 길 인간학 연구소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MBTI 성격 유형 중 E와 I의 차이에 대해 큰 틀에서 보면 외향과 내향의 차이입니다. 아주 익숙한 내용 입니다. MBTI를  전혀 모른다고 해도 외형적 성격인지 내형인지 아주 어렸을 때부터 들어 많이 익숙한 내용입니다. 우리는 성격이 외형적이라고 하면 맨날 밖에 나가 노는 것을 좋아하고 내향적인 부분에는 집중하는 면을 이야기를 합니다. 보통 활발하면 외형적이라고 하고 조용하면 내향적이라고 합니다. 틀린 이야기는 아닌데 이것으로만 판단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내향도 활발할 때가 있고 외향도 조용할 때가 있거든요. 그냥 단편적인 것만 보고 판단할 수가 없다는 거예요. 그리고 누가 봐도 외향적인 사람 자타공인 내향적인 사람 이렇게 확실히 구분이 가는 사람이 있고, 이것도 저것도 아닌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랬다 저랬다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래서 더 헷갈리는 것입니다. 이것은 외향과 내향의 차이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이 외향 내향 개념을 처음 만든 사람은 심리학자 칼 융입니다.  이 내용은 이전 글에 상세히 다루었으니 좀 더 알고 싶으시면 이전 글을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MBTI 성격 유형검사란? 쉬움주의

요즘 성격 유형검사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이 MBTI 검사 입니다.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16가지의 여러 캐릭터와 기존 혈액형이나 다른 이론에 적응된 기성 세대들은 MBTI를 들어본 적은 있어도

story-for-you.tistory.com

 

 칼 융은 외향, 내향을 정신의 방향성으로 설명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관심의 방향이 어느 쪽이냐 하는 것 입니다.것입니다. 활발한 아이가 외향적일 가능성이 큰 이유는 자기 주변의 상황이나 사람들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는 것입니다. 관심이 많다 보니까 말도 먼저 걸고 같이 놀자고 하고 이러는 것 이겠죠. 반면에 전혀 그렇지 않은 아이도 있습니다.  누가 말을 먼저 걸거나 같이 놀자고 하지 않으면 그냥 가만히 앉아 있는 아이도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이 내향적일 가능성이 큰 것입니다. 자기 주변에서 일어나는 상황이나 타인들에 대해 별 관심이 없다는 것 입니다.

 

 그런데 정확히 말해서 이 아이가 관심이 있는지 없는지는 잘 모릅니다. 하는 행동만 보면 그런 것 같기는 한데 진짜 그런 것인지는 잘 모르는 겁니다. 그래서 외형적인 사람을 이해하기가 쉬운 것 입니다. 겉으로 다 드러나니까, 표현을 하잖아요. 저 사람이 어떤 사람이구나 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보이니까 눈에 보이니까 알 수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내향적인 사람은 이 사람의 관심이 어디에 있는지 눈에 안 보입니다. 진짜 내향형인지 아닌지도 잘 모르는 것입니다. 안 보이니까 표현을 안 하니까 그렇습니다. 그래서 내향적인 사람을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안 보이니까, 무슨 생각을 하는지도 잘 모르겠고 왜 그러고 있는지도 잘 모른다는 것입니다. 그냥 추측할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미국 같은 서부권 국가들은 대체로 외향적인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내향적인 사람이 4분의 1 정도밖에 안 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내향인 사람들도 흔한데 미국에서는 그런 사람이 적은 편이다 보니 내향적인 것만으로도 좀 특이한 성격이 아닌가 오해를 받기도 합니다. 미국에서는 당당하게 자기 의사를 표현하고 이런 스타일이 인기가 좋다고 보고 너무 튀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도 그것은 그냥 무난하고 성격 좋은 것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글이 길어져서 다음 글에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글은 외향 내향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공감과 댓글은 힘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