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MBTI 성격 유형 중 S와 N의 두각을 나타내는 분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 (감각형)과 N (직관형)의 차이에 대해 알고 싶다면 이전글을 참고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2022.11.12 - [성격 유형] - MBTI 성격 유형 중 S와 N의 기능별 차이 주의해야 할 사항
N (직관형) 유형은 돌아다니면서 어떠한 패턴을 통해 전체 그림을 보려는 성향이 있습니다. 전체 모양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알고 싶어 한다는 겁니다. 이게 바로 직관형이 관심을 갖는 포인트 입니다. 한마디로 나무가 아니라 숲이 어떻게 생겼는지가 궁금한 사람들이라는 것 입니다.
예를들면 이렇게 숲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는 게 철학 같은 것입니다. 철학은 인간의 삶에 대한 일반적인 원리나 근원 뭐 이런 것과 관련이 있거든요. 커다란 패턴을 따라가다 보면 결국 이쪽으로 간다는 것 입니다. 만약 이과 성향이 강한 N(직관형)유형 이라면 물리학 같은 것에 흥미를 느낄 수 있어요. 그리고 어떤 N(직관형)유형은 종교에 심취할 수도 있고요. 혹은 점이나 미신 같은 것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든 게 더 큰 세계를 보려고 하는 성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나무가 아니라 숲이 어떻게 생겼는지가 궁금한 사람이 직관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전글에 S(감각형)유형의 입장에서 N(직관형) 유형이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 건지 잘 모른다는 얘기를 했죠. S(감각형)유형은 N(직관형)유형이 갑자기 이 말했다 저 말했다 하는 것을 보고 그렇게 생각한다고 했는데 그럼 직관형(N)은 왜 감각형(S)에 대해서 그런 생각을 하는 것 일까요? 직관형(N)이 감각형(S) 이야기를 못 알아듣는다는 얘기입니다. 그런 경우도 많아요.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세계 지도가 있고 한국 지도가 있어요. 근데 둘 다 A4 용지에 그린 것 입니다. 얼핏 세계 지도가 더 많은 정보가 있을 것 같잖아요. 아니죠. 그 세계지도 안에 한국은 아주 작은 부분입니다. 아시아의 끝부분에 약간 튀어나온 부분에다 그냥 조그맣게 대한민국 이렇게 표현할 수 밖에 없다는 것 입니다.
한국지도만 있는 쪽은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5대 도시 다 그려놓고 고속도로까지 표시할 수 있다는 겁니다. 무슨 얘기인지 이해 가시죠? 직관형(N)과 감각형(S)의 차이가 이런 것 이란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감각형(S)이 직관형(N)한테 제주도 서귀포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면 세계지도만 갖고 있는 직관형(N) 입장에서는 이게 무슨 얘기인지 못 알아듣는다는 것 입니다.
세계 지도에는 제주도가 그냥 점 하나 찍어놓은 것입니다. 거기에다 서귀포시를 어떻게 표시하냐는 것 입니다. 듣도 보도 못한 것입니다. 저는 젊은 직관형(N) 분들께 이런 조언을 드리고 싶어요. 친구 관계나 가족 관계 이런 사적인 관계라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비즈니스 관계 쪽으로 들어가면 쉽게 말해서 직장에 취직하거나 창업을 해서 누군가와 거래를 하게 되면 의식적으로 디테일을 챙길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말이죠. 그 디테일이 의외로 엄청나게 중요한 경우가 아주 많았거든요. 그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느껴지는 그 작은 부분 때문에 크게 좌절할 수도 있다는 것 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실제로 작은 게 아니라 그저 내 눈에 그렇게 보이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누군가에게는 특히 감각이 아주 발달한 사람에게는 크게 느껴질 수 있어요. 중요하다고 느낄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이런 차이 때문에 의도치 않게 관계가 틀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인 것은 감각형(S)이 직관형(N)보다 훨씬 많다는 거죠. 지난 글에서 다루었다시피, 어딜 가도 최소한 두 배 어떤 경우는 세 배 정도 많아요. 내가 이상한 사람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합니다.
그리고 감각형분들께도 조언을 드릴게요. 대부분의 평범한 직장에서 사회 초년생라면 감각형(S)이 직관형(N)보다 유리한 경우가 많아요. 대체로 그렇습니다. 왜냐하면 조직의 특성상 말단 신입에게는 큰 규모의 일을 맡기지 않거든요. 딱 자기 업무만 정확하게 해내면 인정받게 되는데 이런 일은 감각형이 잘합니다. 디테일이 달라요 직관형은 잘하다가도 가끔씩 엉뚱한 실수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감각형은 그런 경우가 별로 없어요. 문제는 시간이 지나서 중간 관리자가 되거나 좀 더 여러 사람이 관여하는 일을 맡았을 때 생겨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시야를 더 넓혀야 제대로 일처리를 할 수 있어요. 크게 보고 무엇이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하는 거죠. 이런 것은 직관형(N)들이 잘 합니다.
이 경우 감각형(S)은 좀 더 다양한 것들에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제가 지금 드리는 말씀은 직관 감각의 차이가 매우 뚜렷한 분들에게 해당되는 거예요. 만약 두 가지 점수가 비슷하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MBTI 유형으로 대표적인 직관형인 분들은 ENTP, ENFP, INTP, INFP 가 있습니다. 여기서 트러블 메이커가 될 가능성이 가장 큰 유형이 바로 ENTP 이에요. 왜냐하면 외향(E)인 데다가 사고(T)형이기도 해서 직관(N)형의 시각이 외부에 그대로 드러나면서도 타인에 대한 배려마저 별로 없는 분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기도 모르게 작은 실수를 연발하거나 누군가에게 상처를 줄 가능성이 큰 거예요.
그런데 이 사람은 절대 그럴 의도가 있었던 것이 아닙니다. 그저 자기의 관심을 끄는 커다란 그림을 픽처를 이해하고 싶었을 뿐이에요. 하지만 어쨌든 결과적으로 그렇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ENFP, INFP도 작은 실수를 많이 하는 편이지만 감정형이라서 타인에게 상처가 되는 말을 할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 좌충우돌하지만 좀 귀여운 면이 있죠. 그러면서도 의외로 통이 큰 사람입니다.
그리고 INTP와 INFP는 내향(I)이어서 직관(N)형의 성향이 외부로 강하게 드러나지 않아요. 그래서 실수를 많이 하거나 이렇지는 않은데 머릿속으로는 계속 딴 생각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이들이 현실적인 감각(S)형들에게 둘러싸여 있다면 갑갑하게 느낄 가능성이 매우 커요.유체 이탈이라도 해야 하는 거죠. 그래서 INTP는 인간관계를 피곤하게 느낄 가능성이 크고요 기본적인 인간관계가 매우 단조로울 수 있습니다. 근데 알고 보면 아주 엉뚱한 면이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사실 괴짜가 가장 많은 유형이 INTP죠 그리고 INFP 역시 인간관계가 적기는 한데 그 소수의 관계 안에서는 전혀 다른 면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반하는 대표적인 감각형들은 ESTP, ESFP, ISTP, ISFP 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ISTP이 감각(S)형의 특성이 가장 강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남의 일에는 일도 관심 없는 사람 있잖아요. ISTP 같은 사람이 자기 할 일만 묵묵히 하고 물론 그 일은 아주 잘하죠. 별로 힘들지 않으면서도 퍼펙트하게 해내고는 합니다. 근데 다른 사람이 하는 일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는 거 일도 그러고요 취미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취미를 갖게 되면 그 분야의 고수가 될 확율이 높습니다.
이 사람은 자기가 관심 있고 잘하는 거에만 집중하는 스타일이에요. 그 외엔 별 관심이 없습니다. ISFP도 비슷한 스타일인데 분야가 좀 다릅니다. ISTP가 주로 공학이나 기술 쪽이라면 INFP는 음악이나 미술 등 예술 계통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ESFP, ESTP의 경우 이 사람들은 외향적이죠. 그래서 외향(E)적 감각(S)형보다는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아요. 그런데 그 관심이라는 게 아주 현실적인 그런 것 입니다. 예컨대 피부 관리라든가 부동산 투자 이런 얘기가 거의 대부분이에요. 더 깊은 얘기 속마음이나 이런 얘기는 오히려 내향(I)적 감각(S)형보다도 잘 안 하는 편입니다. 사실 관심도 별로 없고요. 그리고 외형이든 내형이든 상관없이 스포츠나 댄스 이런 분야에 대체로 감각형들이 두각을 들어냅니다. 몸 쓰는 것도 감각과 관련이 많으니까요. 근데 구기 종목처럼 전체를 보는 시야 같은 게 중요한 분야에서는 직관형(N)이 두각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공감과 댓글은 도움이 됩니다.
'성격 유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성격 유형 E I 차이 외향과 내향의 특징 (1) | 2022.11.15 |
---|---|
MBTI 성격 유형 E I 차이 외향과 내향의 의미 (0) | 2022.11.14 |
MBTI 성격 유형 중 S와 N의 기능별 차이 주의해야 할 사항 (0) | 2022.11.12 |
MBTI 성격 유형 검사 알아보기2 사고, 감정, 판단, 인식 조합 (1) | 2022.11.11 |
MBTI 성격 유형 검사 알아보기1 외향, 내향, 감각, 직관 조합 (0) | 2022.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