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 성격 유형에 대해 알게 되면서 본인을 이해하게 되고 타인을 이해하고 포용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되기에, 요즘 많은 사람들이 MBTI 성격유형 16가지에 관심이 많습니다. 저도 MBTI 성격 유형 16가지 설명에 대한 글과 영상을 자주 접하는데 이 중 쉽게 설명한 내용이 있어 그 내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16가지 중 외향, 내향, 감각, 직관 조합에 대해 다루어 볼 것이고요. 이 내용은 길 인간학연구소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이전에 MBTI의 탄생비화 및 개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혹시 탄생비화에 대해 관심이 있으시다면, 이전 글을 참고해 주세요.
MBTI 성격 유형검사란? 쉬움주의
요즘 성격 유형검사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이 MBTI 검사 입니다.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16가지의 여러 캐릭터와 기존 혈액형이나 다른 이론에 적응된 기성 세대들은 MBTI를 들어본 적은 있어도
story-for-you.tistory.com
저번 글에 칼 융의 심리 유형을 발전 시킨 것이 MBTI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면 칼융의 8가지 심리 유형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칼 융은 외향성과 내향성의 구분을 두 가지 태도라고 했고요. 이거 외에 4가지 기능이 따로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게 바로 사고, 감정, 감각, 직관입니다. 그리고는 이것들을 결합했죠. 그래서 총 8가지가 나오거든요. 근데 여기서 브릭스 마이어스는 두 가지 요소를 더 추가합니다. 이건 새롭게 만들어낸 개념이 아니고요. 칼 융이 이야기한 것을 그대로 적용한 거예요.
예를 들어서 보겠습니다. MBTI 유형은 이렇게 네 가지 알파벳으로 되어있습니다. ESTJ유형에 대해 예를 들어본다면, 첫 번째 자리가 위에서 다룬 두 가지 태도 외향 내향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E가 외향(Extrovert)이며 I가 내향(Inrovert)입니다. 그래서 첫자리로 바로 외향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E유형은 8가지 유형으로 추려집니다.
두 번째 자리는 감각, 직관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S가 감각(Sensation)이며, N은 직관(iNtuition)입니다. 감각형은 말 그대로 감각 오감이 발달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이런 게 발달한 사람입니다. 예를 들어 요리 같은 걸 할 때 아주 미세한 맛을 구분한다든지, 처음 듣는 노래라도 목소리 음색 이런 미묘한 차이로 가수 이름을 정확하게 맞춘다든지 물론 아는 노래는 아닙니다. 그걸 알아내는 것이 발달한 사람입니다.
직관은 이런 것보다는 다른 게 발달한 사람입니다. 오감으로 들어오는 정도보다는 다른 쪽에서 들어오는 정보, 민감한 사람입니다. 다른 쪽에서 들어오는 정보라는 것이라는 것은 뭔지 잘 모르지만 왠지 알 것 같은 느낌 있잖아요. 육감 또는 촉같은 것이 정확하게 맞는 사람입니다. 우연일 수도 있지만 우연이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것이 발달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게 신대림이나 계시 같은 거일 수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일종의 통찰력 같은 겁니다. 무엇인가 한 번에 꿰뚫어 보는 그런 걸 말하는 것입니다.
아주 쉽게 설명하자면 감각형은 나무를 보는 사람이고 직관형은 숲을 보는 사람이에요. 좁은 범위이지만 정확하게 정밀하게 보는 사람이 감각형이고요. 대충 보지만 시야가 넓은 사람이 직관형이라고 할 수 있어요. 대략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ES유형은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집니다.
글이 길어지고 있어 이후 4가지 유형의 내용은 다음 글에 이어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공감과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성격 유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성격 유형 E I 차이 외향과 내향의 의미 (0) | 2022.11.14 |
---|---|
MBTI 성격 유형 중 S와 N의 두각을 나타내는 분야 차이점 (0) | 2022.11.13 |
MBTI 성격 유형 중 S와 N의 기능별 차이 주의해야 할 사항 (0) | 2022.11.12 |
MBTI 성격 유형 검사 알아보기2 사고, 감정, 판단, 인식 조합 (1) | 2022.11.11 |
MBTI 성격 유형검사란? 쉬움주의 (0) | 2022.11.09 |
댓글